유용한 정보

다이빙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스쿠버다이빙 NDL은 왜 중요할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방장 댓글 8건 조회 76회 작성일 25-08-08 09:19

본문

스쿠버다이빙에서 NDL이란 말은 자주 듣습니다. 대부분의 펀다이버들은 가이드가 있다면 신경쓰지 않지만, 본인의 안전을 위해서 절대 무시해선 안될 용어입니다. NDL은 우리 다린이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주는 기준 값이기 때문에 스쿠버다이빙 NDL에 대한 기본 개념을 알고 지키기 위한 다이빙 플랜을 짜고, 지키지 못했을 때 대응 방법도 알아야 합니다.

NDL(무감압한계, No-Decompression Limit)이란?
**NDL(무감압한계)**은 한 번의 잠수에서 감압 정지를 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수면으로 복귀할 수 있는 최대 체류시간을 말합니다. 즉, 그 깊이에서 일정 시간 안에만 머물면 잠수 후 감압병(감압병/DCS)이 발생할 확률이 낮아 감압 정지(stop)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에요.
NDL은 다이브 테이블(표)이나 다이브 컴퓨터가 계산해 줍니다.

 

왜 NDL을 지켜야 하나요?
1. 감압병(Decompression Sickness, DCS) 예방: 잠수 중 호흡한 공기(또는 기타 혼합기체)에 녹아들어간 질소가 상승 중에 과도하게 기포로 변하면 조직과 혈관을 손상시키고 통증·신경증상·호흡곤란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NDL을 넘기면 기포 생성 위험이 커집니다.

2. 응급치료 필요성 감소: 감압병이 발생하면 고압산소(하이퍼바릭 챔버) 치료가 필요할 수 있는데, 접근성·비용·위험이 큽니다.

3. 안전한 다이빙 프로파일 유지: NDL을 지키면 반복다이빙 후 축적되는 잔류질소를 관리하기 쉬워집니다.

 

지키지 않으면 어떤 위험이 있나요?
1. 감압병(DCS): 관절·근육 통증(“벙어리 통증”), 피부 변화, 현기증, 마비, 의식저하, 호흡곤란 등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 영구적 신경손상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2. 공기 색전(ATO / Arterial Gas Embolism): 급격한 상승으로 폐에서 공기가 혈관으로 들어가면 즉시 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흉통, 호흡곤란, 의식소실 등).

3. 치료 지연의 위험: 증상을 무시하거나 늦게 대처하면 회복 가능성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실전 다이빙에서 핵심 유의사항
1. 다이빙을 하기 전 매번, 목표 깊이, 시간, 예비 공기(예: 50bar 남기기) 설정 등 다이브 플랜을 세우고 지키세요. 

2. 다이브 컴퓨터나 테이블을 사용하세요. 컴퓨터는 실시간 잔여 NDL과 반복다이빙 잔류질소를 계산해 줍니다.

3. 상승 속도 준수: 일반적으로 최대 상승속도는 약 18 m/분 입니다. 너무 빨리 올라오지 마세요.

4. 안전정지(Safety stop): 대부분의 무감압 다이빙 후 수심 5m에서 3분간 머무르는 것을 권장합니다. (컴퓨터가 자동 권장)

5. 지속적인 반복 다이빙 시 잔류질소가 누적됩니다. 때문에 같은 날 여러 번 다이빙하면 각 다이빙의 NDL이 줄어들고 표나 컴퓨터의 지침을 따라야 합니다.

6. 다이빙 후 항공편 탑승이나 고지대 이동은 감압병 위험을 높입니다. 일반 권고는 단일 다이빙이었다면 무감압 다이빙 후 최소 12시간, 반복 또는 감압 다이빙 후에는 18–24시간 이상의 대기시간이 필요합니다.

7. 수분 유지와 충분한 휴식은 필수입니다. 수분 부족, 피로, 알코올은 감압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8. 상승 중 숨을 참으면 위험합니다(특히 스쿠버에서 공기 팽창으로 인한 폐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항상 정상 호흡 유지하면서 다이빙 하세요.

 

증상 발생 시 행동요령
1, 가능하다면 즉시 100% 산소를 공급해주세요. 증상 악화를 줄이는 데 가장 중요합니다.

2. 평평하게 눕히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되, 호흡곤란 시 상체를 약간 올려 줍니다.

3. 담요나 옷을 덮어서 몸을 따뜻하게 유지해 줍니다.

4. 고압산소치료(하이퍼바릭 챔버)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빠르게 이송합니다.

5. 치료가 완료 될 때 까지 절대 다시 다이빙을 금지합니다.

 

NDL을 초과 했다면?

그래서는 안되지만, 간혹 딥다이빙을 하면서 NDL을 초과하는 다이빙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NDL을 초과 했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체내에 질소가 쌓인 만큼 안전정지 시간이 길어지지만, 문제는 잔압입니다. 따라서, NDL을 초과하지 않고 플랜 대로 다이빙을 마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NDL 5분 이내 초과 시 : 5미터 수심에서 8분간 안전정지

2. NDL 5분 이상 초과 시 : 5미터 수심에서 15분간 안전정지

 

마무리(요약)
NDL = 감압 정지 없이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최대 시간.

이를 지키면 감압병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지키지 않으면 심각한 신경·호흡·순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다이브 컴퓨터 사용, 상승 속도 준수, 안전정지, 비행 대기 시간 준수, 수분 섭취와 휴식 등 기본 수칙을 항상 지키세요.

SNS 공유

댓글목록

Meeya님의 댓글

Meeya 작성일

다이버의 기본 수칙이자 상식인 NDL(No-Decompression Limit) 무감압 한계 시간 잘 지키기🙏 항시 명심하겠습네다.

야생마님의 댓글

야생마 작성일

흠.. 갑자기 무서워 집니다.
공기 먹는 하마는 일반인 보다 NDL을 더 짧게 고려 해야 할까요 ?

방장님의 댓글의 댓글

방장 작성일

양생마님 호흡량은 크게 문제될 정도는 아닙니다 ㅎㅎㅎ NDL은 수심과 다이빙 시간으로 컴퓨터가 보수적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컴퓨터 계산대로 따라 하시면 될 듯 합니다.

정경빈님의 댓글

정경빈 작성일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서기님의 댓글

서기 작성일

정상적으로 안전정지를 마쳐도 우리 체내에 질소는 남아 있습니다~
그날 다이빙을 마치고나면 물 많이 마시면 체내 질소 배출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wasabi님의 댓글

wasabi 작성일

다이빙컴을 사야겠어요!!!!

현주님의 댓글

현주 작성일

정보 감사합니다

웻수트입는북극곰님의 댓글

웻수트입는북극곰 작성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다이빙 시 명심 하도록 하겠습니다

Copyright © 2001-2019 © 다린이. All Rights Reserved.